너무나 명경기였지.. 다시 없을..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년만에 찾은 폐가 .. (0) | 2021.02.26 |
---|
너무나 명경기였지.. 다시 없을..
2년만에 찾은 폐가 .. (0) | 2021.02.26 |
---|
1. 빠른 시작 끄기
빠른 시작은 종료시에 다음 부팅에 메모리 내용을 로딩하는 임시 저장 파일을 만드는 것으로 오히려 버그를 만든다.
특히 사운드와 비디오 드라이버 쪽에서 문제가 발생.
게다가 기능을 켠다고 해도 딱히 크게 윈도우즈 로딩의 성능 향상이 없다.
불편한 버그가 있는 기능으로 끄는게 좋다.
전원 옵션 - 전원 단추 동작 설정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 빠른 시작 켜기 체크 해제.
-
-
2. HPET 끄기
HPET는 고정밀 타이머로 8코어 이상에서는 오히려 문제를 일으키는 기능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만든다.
- 화면 티어링
- 1000 폴링 레이트로 사용하는 마우스 포인터의 튀는 현상
- 화면과 소리의 싱크 안맞음
윈10에서의 기능을 끄는 방법은 cmd를 관리자모드로 열고 다음과 같이 입력.
bcdedit /set useplatformclock false
이런 문제로 최근 윈도우즈의 정책도 HPET를 쓰지 않는 다른 타이머 방식으로 가는 쪽을 선택하고 있다고 한다.
HPET 타이머의 값을 읽어오는 동안의 지연 시간이 오히려 타이밍을 망가뜨리는 결과를 만들고 있기 때문.
HPET를 끄면 게임의 성능도 오히려 소폭 상승한다.
윈도우10 - 사용자 이름 또는 암호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7) | 2018.05.31 |
---|
웹뷰와 자바스크립트 간 통신을 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다.
java exception was raised during method invocation
이는 js에서 안드로이드 메서드를 호출할 때 발생하는데, 스레드가 필요한 작업인데 그냥 수행하는 경우 발생한다.
따라서 스레드 또는 핸들러로 처리해주면 해결된다.
@Override @JavascriptInterface
public void methodName() {
new Handler().post(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 작업 처리
}
});
}
Push rejected: Push to origin/master was rejected (0) | 2018.05.01 |
---|---|
이클립스 로그캣 텍스트 색깔 변경 (0) | 2018.04.29 |
이클립스에서 안드로이드 7.0 이상 기기가 target unknown 뜨는 현상 (2) | 2017.12.05 |
Unable to build: the file dx.jar was not loaded from the SDK folder! 오류 해결 (4) | 2017.11.07 |
안드로이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API 적용. (0) | 2017.10.30 |